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연준(Fed)에 대해서(2)
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돈이 주인인 세상)/재테크

연준(Fed)에 대해서(2)

by 디지털 히터 2023. 4. 27.
반응형

오늘은 연준에 대해서 2번째
편안한 글 구성을 위해 존칭을 사용하지 않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기존 연준에 주주구성과 시뇨리지 등에 대해 알아 보았다
그렇다면 이제 연준이 재무부의 채권 발행 등에 대해 어떻게 
관련 있는지 알아 보겠다. 
 
 
연준에 대한 
거래는 금융기관 혹은 해외등에 채권을 거래시킨다.
재무부가 발생시킨 빚을 다른 금융기관이나
다른 나라로 이전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판매되고 남은 것은 연준이 보유하되,
액면가로 받는다즉, 이자율만큼 할인된금액으로 받을 것이다. 
달러의 시뇨리지 당연 연준과 관련되, 연방은행이 가져갈 것이다. 
실질적인 연준의 주인
 
미국은 그래서 국채가 늘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달러를 채권을 통해 받기 때문이다. 사실 달러에는 채권의 증표가 있다. 지급보증
 약간 웃기는 구조이다. 
 
물론 재무부가 채권보다 세입을 늘려서, 국세가 재정지출을 감당한다면 
굳이 달러를 발행(국채를 발행하는 것과 결론적으로 같은 의미)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연준은 민간은행들의 주인, 달러가 발행이 되어야
그 시뇨리지를 갖는다. 즉, 달러(국채)를 발행시키기 위해 재정지출을 늘리게 한다.
국민들에게 돈을 나눠주는 것이다. 
 
그러면 돈이 늘어나면 인프레로 인해 달러 가치가 떨어져야 한다. 
그런데, 그 달러를 채권의 형태로 다른 나라에 엄청나게 팔았다.
그렇게 되니, 미국내에는 달러 물량이 적어서 달러 가치는 유지된것이다.
또한 달러외 다른 나라의 화폐도 물량이 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치가 유지가 된것이다.
 
통화란 것은 상대적이기 때문
우리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알아야한다.
 
 
[같이 보면 좋은 글]
https://namu.wiki/w/%EB%AF%B8%EA%B5%AD%20%EC%9E%AC%EB%AC%B4%EB%B6%80%EC%B1%84%EA%B6%8C

미국 재무부채권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연준의 기능을 알게되는 글: 미국 재무부는 달러 발행권이 없어요]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04086 

달러 못 찍는 미국... 우린 다 속았습니다

[국가의 거짓말⑩] 미 연방준비은행 'FRB'의 진실

www.ohmynews.com

 
Bing 질문 :미국채 발행과정 미연준 공개시장 매매지원

미국 재무부가 미국 국채를 발행한 뒤에 공개시장운영의 대상이 되는 공개시장에 매각하고, 매각되지 않고 남은 물량을 연방준비제도(Fed)에 보내면 Fed가 액면가로 인수한 뒤에 Fed에서 채권 액면가에 1:1 대응하는 미국 달러 지폐(연방은행권)를 발행하는 방법입니다1.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미국 기준금리를 조절할 때 T-Bills을 가지고 매매합니다. 투자은행이나 헤지펀드, 미국 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는 안전자산도 대부분 T-Bills로 가지고 있습니다

 
내가 작성한 글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나 또한 책,유튜브, ChatGPT, Bing,인터넷신문 자료를 취합해서 
작성한 글이기 때문이다.
다만 한번쯤 생각을 해보면, 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 원리를 이해한다면, 좀 더 확실하고 안전하게 
내 자산을 늘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2023.04.12 - [자본주의(돈이 주인인 세상)/재테크] - 연준에 대해서(with ChatGPT)

연준에 대해서(with ChatGPT)

편안한 글 작성을 위해서 존칭어를 사용하지 않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 어디까지 알고 있는가 아마도 대부분 자세히는 모를 것이다. 중요한 단어가

count9.tistory.com

 

320x100
728x90

댓글